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실업급여 계산기 2025 버전 - 받을 수 있는 금액 & 조건 총정리

by 톡톡에디터 2025. 5. 8.
반응형

 

 

실업급여 계산기 2025 버전 - 받을 수 있는 금액 & 조건 총정리

 

갑작스럽게 퇴사를 하게 되었거나, 이직 준비 중이라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바로 실업급여입니다.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었다면 일정 조건만 충족해도 최소 4개월 이상 최대 9개월 이상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과 실제 받을 수 있는 금액, 신청 조건을 완벽 정리해드립니다.

💡 실업급여 계산기란?

실업급여 계산기는 퇴직 전 평균 임금, 근무 기간, 나이 등을 입력하면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일당 및 총 지급 일수를 자동 계산해주는 서비스입니다.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사이트 또는 고용센터 민원포털 등에서 무료로 제공됩니다.

🧾 2025년 실업급여 지급 기준

  • 기본 지급액: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의 60%
  • 상한액: 1일 77,000원
  • 하한액: 최저임금의 80% 수준 → 2025년 기준 약 61,520원
  • 지급일수: 최소 120일 ~ 최대 270일 (연령 및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결정)

🖱️ 실업급여 계산기 입력 항목 & 사용법

  • 1일 평균임금 입력: 퇴직 전 3개월 급여 ÷ 총일수
  • 고용보험 가입 기간: 1년 미만 / 1~3년 / 3년 이상
  • 나이 선택: 50세 미만 / 이상 여부
  • 이직 사유: 비자발적 퇴사(권고사직 등)만 해당

📊 모의 계산 예시 (2025년 기준)

예시: 30세 직장인, 월 평균 급여 3,000,000원, 고용보험 가입 2년 이상

  • 1일 평균임금: 약 100,000원
  • 실업급여 일액: 100,000원 × 60% = 60,000원
  • 지급일수: 150일 → 총 수령액 약 9,000,000원

✨ 정확한 계산을 위한 팁

  • 퇴직 전 3개월 급여 내역을 꼼꼼히 확인하고 입력
  • 자발적 퇴사 시엔 원칙적으로 실업급여 지급 불가 (예외 사유만 해당)
  • 고용보험 가입일수는 피보험자격이력내역서로 확인 가능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자발적으로 퇴사했는데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?

일부 예외 사유(임금체불, 괴롭힘 등)에 해당하면 자발적 퇴사도 실업급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고용센터 심사 필요.

Q. 실업급여 수급 중 알바하면 어떻게 되나요?

일용 알바도 반드시 신고해야 하며, 일정 금액 초과 시 수급 금액이 줄거나 중단될 수 있습니다.